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PER 밴드활용법

주식공부

by 포유 2021. 6. 6. 16:01

본문

728x90
반응형

per은 기업의 가치를 비교할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상대가치평가법입니다.

좀 더 유용하게 활용하는 방법으로 per밴드를 활용할수 있는데요

현재 주가가 과거의 멀티플 밴드에서 어느위치에 있고

그래서 높은 주가인지 낮은 가격대인지 파악을 해볼 수 있습니다.

 

밴드라는 말처럼 per의 일정시간동안의 폭을 의미합니다.

 

주가는 = 

eps(이익) x per

인데요

 

이익과 자산가치에 성장율이나 기업전망이나 업황전망 등을 의미하는 멀티플배수를 곱해서

주가가 형성되는데요

 

멀티플배수가 높아지면 주가가 급격히 상승하게 됩니다.

위의 per pbr밴드는 삼성전자의 예시인데요

네이버 증권>삼성전자>종목분석으로 들어가면 쉽게 볼수 있습니다.

 

차트에는 2017년부터 2021년 현재까지의 per밴드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2018년 사상 최대의 이익을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차트를 보면 오히려 실적과는 달리 per 6.4배까지 하락해서 밴드상에 하단을 기록했습니다.

현재 2021년 6월은 3월실적발표기준으로 19.7배이고 21년 예상이익 기준으로는 15.3배입니다.

 

2016년부터 2020년 예상실적 기준 5년간 per의 평균을 구해보겠습니다.

아래표도 네이버증권>삼성전자>종목분석>연간조건으로 보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과거 5년간 per 평균은

(13.18+9.40+6.42+17.63+21.09)/5=13.54

과거 5년간 평균 per이 13.54배입니다.

 

현재 per이 19배 수준이므로 평균보다는 멀티플이 높은 상태입니다.

물론 고평가이다의 판단보다는 멀티플이 높게 유지되는 이유가 더 중요하겠죠

 

2018년 최고의 실적이 예상되고 실제 기록했지만 향후 전망이 18년보다 높지 않아서 멀티플 배수가 

하단까지 내려갔고 주가도 5만원대를 오가는 상황이었습니다.

2019년은 안좋은 전망대로 18년에 비해 순이익이 반토막이 났습니다.

 

그러다가 2020년 코로나19로 인해 재택수요/반도체 공급망문제/비트코인채굴등으로 수익이 반등하고

이런 상황이 지속할 것으로 예상되어 수익도 오르고 그보다 더 큰 기대로 높은 멀티플 per 21배를 받아서 

2021년 연초 1월에 96,800원까지 상승했었습니다. 지금은 8만원대 초반에 머물고 있습니다.

 

다른 복잡한 여건을 계산하거나 분석할 능력이 되지 않는 본인이기에

멀티플 밴드를 활용하는 단순한 측면에서 보면

밴드 상단인 per 21배까지 올랐던 상황은 지나친 기대감으로 주가가 오버슈팅했다고 볼수 있고

 

현재의 가격대에서 순이익이 계속 높아져서 per수준이 떨어지거나

삼성전자의 또다른 미래먹거리인 비메모리반도체쪽에서 사업전망과 실적전망치가 높아져서

현재의 per 19배 수준이 용인되고 글로벌 비메모리회사들의 멀티플을 받을 수 있다면

주가 상승의 모멘텀이 될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렇지 못하고 특별한 모멘텀이 없이 현 사업전망을 유지하는 선이고 평균에 수렴한다면

5년 평균 per인 13~14배에 도달하거나 더 내려가게 되어 시간이 많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앞서 거론한 per 21배가 과연 삼성전자에게 최대의 상단에 해당되는 혹은 과도한 멀티플인가는

또다른 비교를 해야 되는데요.

삼성전자는 사업부문이 반도체외에도 모바일, 전자, 통신 등 다양하기 때문에 단순하게 다른 기업과

비교하기에 무리는 있지만 

삼성전자의 가장 중요한 모멘텀으로 여겨지는 부분이 비메모리반도체 분야의 확대이고 실제 멀티플의 상승

가능성을 예상하기도 했었습니다.

 

그래서 비메모리반도체 회사중에 TSMC라는 회사와의 비교를 많이 하는데요

이회사는 per 31배를 받고 있습니다.

삼성전자가 이 정도 멀티플을 받으면 12만원~16만원 주가를 당장 기대해볼 수 있는 수준입니다.

 

 

그럼 비메모리반도체쪽이 높은 멀티플배수를 받는 이유는

1. 메모리반도체에 비해 이익의 변수가 적습니다. 즉 불황과 호황의 사이클이 적어서 이익전망이 유리합니다.

2. 메모리반도체에 비해 시장규모가 훨씬 크고 이익율도 좋습니다.

 

이런 이유로 삼성전자도 비메모리반도체 부문을 확장하려고 노력중이지만 

현재 시장점유율이나 수익이 삼성전자의 다른 부문보다는 상대적으로 작습니다.

 

따라서, 현재의 per수준은 다소 높다고 여길수 있고 기존 사업의 수익 지속적으로 오르더라도(예상외

의 폭발적인 성장이 온다면 모를일이죠)

비메모리나 5g등의 신규사업전망이 모멘텀으로 작용하지 않으면 역사적 평균per보다

높은 현재 수준이 해소되는데 오래걸릴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좀 요약해보자면

멀티플밴드를 활용해서 기업의 현재 주가 수준을 파악을 해볼 수 있을텐데요

첫번째로 과거 5년 멀티플 밴드를 확인해보고

두번째로 5년간 평균 멀티플을 확인해서 현재 수준과 비교해봅니다.

세번째로 다른 기업의 멀티플을 비교해서 상대적인 수준을 확인해봅니다.

네번째로 현재 멀티플 수준을 기업전망과 비교해보면서 판단을 해봅니다.

 

간단하지만 멀티플로 기업의 주가를 살펴보는 법을 알아봤습니다.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