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 PBR PSR은 멀티플배수라고 하는 것입니다.
멀티플 배수라는 것은 E(EPS)는 순이익, B(BOOKVALUE)는 자산가치, S(SALES)매출을 기준으로
몇배를 시장에서 인정받는지를 기업끼리 상대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그래서 상대적가치평가방법으로 사용하는 것인데요
세상에 기업의 가치를 완벽히 평가할 수 있는 사람은 없다고 하는데요
대략적으로 기업의 가치를 가늠할 수 있는 필터로 활용하면 좋겠습니다.
이 지표를 활용해서 기업을 비교할때 유용한 결과를 위해서
기술을 보유하였지만 적자기업이거나 성장성이 빠른 회사는 이익을 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럴 경우는 매출액을 기준으로 하는 저평가인지 고평가인지를 살펴보기 위해 PSR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IT 신산업의 기업이나 바이오기업등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대부분의 산업이 경기민감주에 해당하는 기업인데요
경기민감주에 해당하는 기업은 산업의 사이클에 따라 수익 변동이 심합니다.
호황과 불황을 반복하기 때문에 이익의 질이 일관되지 않은 특성을 보입니다.
그래서 경기민감주나 성장이 더딘 기업은 자산가치를 비교하는 PBR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일관된 이익과 성장 거기에 배당까지 주면 참 환상적인 회사일텐데요
이익과 성장이 어느정도 일관성이 있는 기업은 이익을 기준으로 하는 PER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PER PBR PSR을 몇배수의 형태로 사용됩니다.
1배, 1.5배, 2배 이런식이죠. 숫자로는 1.0, 1.5, 2.0
또 시간을 늘려서 보면 고점과 저점을 이루는 밴드를 형성하게 되는데요
PER밴드, PBR밴드, PSR밴드로 부릅니다.
예시)
삼성전자 PER/PBR밴드
현대자동차 PER/PBR밴드
2차 전지(배터리)분야 국내/외 주요 밸류체인상 기업들 (0) | 2021.06.10 |
---|---|
기업유형(고정비형/변동비형)에 따른 투자 주안점 (0) | 2021.06.10 |
애널리스트 보고서를 믿어 말어? (0) | 2021.06.08 |
순현금 많은 기업이 좋은 이유 (0) | 2021.06.08 |
PER 밴드활용법 (0) | 2021.06.06 |
댓글 영역